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덤프트레일러에 하독스 500터프를 적용하면 마모가 30% 감소됩니다

Hardox 이야기/ABOUT 하독스

by SSAB KOREA 2022. 3. 16. 09:30

본문

독일의 트레일러 적재함 제조업체인 Kempf와 아르헨티나의 대형 덤프트럭 회사인 Industrias Baco는 각 나라에서 하독스 500터프를 처음 적용한 업체들입니다. 이들은 수명이 더 길고,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덤프 트레일러를 제작하기 위해 SSAB의 하독스 500터프 강재를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마모량이 약 30% 감소되거나, 사용수명이 30% 연장되는 효과를 보았다고 합니다.

 

 

하독스 500터프로 덤프트레일러의 마모를 30% 감소하다

독일의 덤프 트럭 및 덤프 트레일러, 덤프 바디, 덤프 세미트레일러, 후크 리프트 트럭 등의 수많은 맞춤형 상용차를 제작하는 Kempf는 SSAB의 하독스 500터프 강재를 사용한 후, 마모를 줄이고 탑재하중을 높이면서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Kempf는 하독스 500터프를 사용한 최초의 독일 회사로, 하독스 500터프의 장점들을 확실히 인정했습니다. 그 장점들은 그들의 고객에게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독스 450으로 제작된 리어 덤프트럭과 하독스 500터프로 제작된 리어 덤프트럭을 거의 동일한 조건에서 약 2년간 운행한 후, 덤프 트레일러 적재함의 마모 상태를 비교했을 때, 하독스 500터프 제품으로 제작된 트레일러 적재함에서 마모량이 약 1/3가량 더 적게 발생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하독스 450으로 제작했을 때는 트레일러 측벽의 두께가 5mm였으나, 하독스 500터프 제품을 적용하면서 소재의 두께를 4mm인 강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죠. 적재함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적재 용량을 최대 20%까지 늘릴 수 있었습니다. 차량 중량이 낮을수록 전체 트럭의 운용기간 동안 필요한 연료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감소합니다. 적재함이 더 얇고 더 가벼워질수록 철강재 소요량도 줄어들게 되고, 궁극적으로 트럭이나 트레일러로 인해 발생하는 전체적인 환경 발자국도 줄일 수 있죠.

 

 

하독스 500터프로 덤프트럭의 제품 수명을 30% 연장하다

아르헨티나의 대형 덤프 트럭분야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Industrias Baco는 하독스 500터프를 사용하여 하프 파이프 형상의 덤프트럭 적재함을 생산하면서 고객만족도와 제품 사용수명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Baco는 경쟁사와 차별화할 수 있는 새로운 것을 찾고 있던 중, 하독스 500터프가 출시되자마자 관심을 갖고 신속하게 첫 번째 주문 분량을 확보했습니다. 기존 강재에서 하독스 내마모강으로 전환한 것은 회사 매출 증가의 근간이 되었죠.

덤프트럭 설계를 변경하여 하독스 450제품으로 제작되었던 기존 모델과 차별화하여, 하독스 500터프를 적용해 새로운 덤프 트럭의 측면을 원추형 판넬로 설계했습니다. 그 결과, 표준형이 직사각형 설계로 된 적재함의 경우보다 점토나 모래와 같은 재료가 훨씬 더 막힘없이 흘러 하역이 용이해졌습니다. 이전 덤프트럭의 하독스 450의 두께와 동일하게 적용했을 경우 사용수명이 약 30% 증가했으며, 기존에 8mm 하독스 450으로 제작된 덤프트럭을 사용하던 고객들을 위해 6mm의 하독스 500터프를 적용하여 신규 덤프 트럭을 제작하니 무게가 700kg이 줄어들었으며, 사용수명은 동일했습니다. Baco는 작년 3월 기준 하독스 500터프로 제작된 약 60대의 덤프트럭을 이미 납품했으며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면서 Baco의 모든 덤프트럭을 하독스 500터프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전했습니다.

 

 


하독스 500터프는 똑같은 내마모성강판 한 장에 고장력과 매우 높은 경도 및 인성을 모두 보증합니다.
이러한 속성들이 결합되어 있어 탁월한 내마모성과 내덴트성(국부적 소성 변형 방지) 및 구조적 성능을 가진 덤프트럭 적재함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하독스 500터프로 덤프 트레일러를 제작하고 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SSAB에게 바로 문의해주세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