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WeldCalc 앱으로 쉽게 확인하는 하독스 용접 가이드

Hardox 이야기/Hardox 가이드

by SSAB KOREA 2025. 3. 19. 09:00

본문

내마모강 No.1 하독스, 강한 만큼 용접 과정도 까다롭지 않을까요?
고민과 걱정이 있으셨다면 고민은 단호하게 NO!

일반적으로 하독스는 버켓, 덤프트럭과 같은 다른 강재들과 용접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일반 강재와는 다른 특성치를 지녔기 때문에 용접 과정에도 까다로울 것 같다고 편견을 가지시는 분들이 많으셨을 거예요! 그래서 SSAB 공식 블로그는 안전하면서도 손쉽고 빠르게 용접 조건들을 알아낼 수 있는 앱인 WeldCalc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하독스 철판 용접 방법

하독스 철판 용접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가장 유명한 레이저 용접 외에도 피복 아크 용접, CO2 용접, FCW 용접, TIG 용접, 자동 용접 등이 있습니다. 용접할 대상에 따라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SAB는 용접 작업 표준 지침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 강재 용접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하독스의 특성상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1. 하독스 용접 전 준비 작업

하독스 강재를 용접하기 전에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용접 부위에 녹, 기름, 수분, 불순물이 남아 있으면 용접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 전 표면을 와이어 브러시 또는 연마 패드로 깨끗하게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하독스 강재는 두께에 따라 사전 예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mm 이상의 두꺼운 강재는 용접 중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로 예열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100~200℃의 예열 온도가 권장되지만, 이는 강재의 두께와 탄소 당량(Carbon Equivalent)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용접 시 참고사항

하독스를 용접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용접 재료 선택

-  예열

-  층간 온도 관리

-  입열량 조절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균열 방지입니다. 최소 권장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용접 품질을 확보하는 핵심입니다.

3. 적절한 용접 재료 선택

하독스를 용접할 때는 용접봉이나 와이어의 선택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하독스와 같은 고강도 강재를 용접할 때는 저수소(Low Hydrogen) 계열의 용접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러한 재료는 용접 후 균열을 최소화하고, 내충격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대표적인 용접 재료로는 AWS E7018(피복 아크 용접)이나 GMAW(가스 금속 아크 용접)에서 ER70S-6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하독스 강재와의 기계적 성질을 맞추기 위해 특정 합금 성분이 포함된 용접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4. 용접 중 고려해야 할 사항

하독스 용접 시에는 높은 열 입력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열 입력은 강재의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켜 취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용접 전류와 전압을 설정하고, 낮은 열 입력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다층 용접(Multi-pass welding)을 적용하면 열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용접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각 용접 패스 후 충분한 냉각 시간을 확보하면 균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5. 용접 후 열처리 및 검사

하독스 용접이 완료된 후에는 용접부의 품질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육안 검사 및 비파괴 검사(NDT, Non-Destructive Testing)를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초음파 검사(UT)나 자분 탐상 검사(MT)를 통해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부 두꺼운 하독스 강재는 용접 후 스트레스 릴리프(Stress Relief) 열처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열처리 시 강재의 기계적 특성이 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적절한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하독스 철판 용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간단한 앱 Weldcalc

 

SSAB에서 개발한 Weldcalc 앱은 SSAB에서 제조 및 공급하는 모든 하독스와 스트렝스 제품군의 강재 두께를 설정할 수 있어, 현장에서 사용 중인 강종과 두께에 따른 최적의 용접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화면에서 용접 방법과 용접 조인트를 선택합니다.

두 번째로 용접 대상의 강종 및 두께를 선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예열 온도 및 용접 조건을 설정합니다.

이와 같이 결과값을 바탕으로 해당 용접에 필요한 조건을 설정하면 됩니다. 간단하죠? 앱 하나로 다양한 용접의 건전성과 가능한 물성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이 앱에서 적용된 용접 재료는 모두 SSAB에서 권고하는 기본 조건(가능한 저수소계, 용착 금속 내 수소량 5ml/100gr 이하)을 충족하는 재료이며, 그 외 기타 용접 전후 조건들은 일련의 절차가 필요합니다. 용접 조건을 가볍게 생각하면 수소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지금 당장 SSAB의 Weldcalc 앱을 다운로드하여 현장에서 더욱 효율적인 용접 작업을 경험해 보세요!


하독스 용접, Weldcalc 앱만 있다면 어렵지 않죠?
하독스 관련 궁금하신 점은 아래 배너를 통해 연락주세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